반응형
빗썸에서 제공하는 거래지원 프로세스 및 심사 기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빗썸은 유망 프로젝트의 발굴 및 엄선을 통해 회원에게 새로운 투자 기회를 확대하고자 노력하고 있고 가상자산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정부 및 FATF 규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.
그리고 가상자산 산업 발전의 선두로서의 중추적인 역할과 책임을 인식하고 블록체인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'빗썸 거래지원 프로세스 및 심사 기준'을 가지고 있습니다.
거래지원 프로세스
- 빗썸코리아 거래지원 신청서 접수
- 내/외부 거래지원 검토
- 재단 커뮤니케이션 진행
- 빗썸 거래지원/마케팅 계약 협의
- 프로젝트에 대한 빗썸 거래지원
거래지원 신청서 접수시 '빗썸 거래지원 신청서 / 프로젝트 백서 / 기술 검토 보고서 / 토큰 세일 및 분배 계획서 / 법률 검토 의견서' 등을 제출해야 합니다.
거래지원 검토의 경우 외부 기관과의 협력 및 객관성 검증과 기술, 금융, 법률 관련 외부 전문가들을 포함한 거래지원 심의위원회의 거래지원 적격성 검토 및 검증을 진행합니다.
심사 기준
구분 | 기준 |
비즈니스 모델 | - 프로젝트 및 로드맵 이행 여부 - 입출금 가능한 거래소 거래지원 여부 - 기업 제휴 및 파트너십, 투자 여부 |
기술 역량 | - 보안 기술 감사 수행 및 깃허브 업데이트 여부 - 하드웨어 월렛 지원 및 커스터디 서비스 사용 여부 - 다크코인 가능 여부 |
법률 준수 | - 관련 법률 및 규제 준수 여부 |
토큰 | - 토큰 분배 및 유통량, 락업 현황 - 컨트랙트 임의 가능 여부(발행, 소각, 락업, 언락 등) - 커뮤니티 채널 활성화 여부 |
재단 조직 평가 | - 구성원들의 블록체인 생태계 이해도 및 관련 경험 보유 여부 - 각 분야에 대한 전문 인력 및 인적 네트워크 구축 여부 - 투자자 대상 대외 활동 및 커뮤니케이션 채널 활성화 여부 |
빗썸은 파트너사와 외부 전문가들과의 협업을 통해 거래지원 후에도 투자 등급에 따른 마켓 세분화 및 운영 정책을 기반으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
그리고 지속적인 재단 커뮤니케이션 및 모니터링을 통해 회원들이 안심하고 거래하실 수 있는 건전하고 투명한 거래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습니다.
댓글